공유기 포트 포워딩을 해놓고도 서버에 접근이 되지 않아서 살펴보면 공유기가 반복적으로 연결된 이중 공유기 환경인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. 이런 상황에서는 각각의 공유기에서 포트 포워딩을 해야 하는데, 본인의 네트워크에 공유기가 한 개인지, 두 개인지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. 그래서 손쉽게 이중 공유기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합니다.
cmd 명령
윈도우의 검색창에서 cmd를 입력하여 커맨트 쉘을 열어줍니다. 그리고 아래 명령을 입력합니다.
tracert -d -w 1 -h 10 8.8.8.8
Code language: CSS (css)
이 명령은 구글의 DNS 서버인 8.8.8.8로 가는 모든 과정에 대해서 거쳐가는 서버들을 나열하게 됩니다. 최대 10개만 나열하도록 -h 옵션을 주었습니다. 이제 결과를 살펴보겠습니다.
최대 10홉 이상의 8.8.8.8(으)로 가는 경로 추적
1 3 ms 1 ms 3 ms 192.168.123.1
2 2 ms 2 ms 2 ms 192.168.219.1
3 15 ms 14 ms 12 ms 10.*.*.*
4 19 ms 11 ms 18 ms 10.*.*.*
5 23 ms 61 ms * 1.*.*.*
6 21 ms 19 ms 17 ms 1.*.*.*
Code language: CSS (css)
위와 같이 맨 위에서부터 내 컴퓨터에 가장 가까운 서버들의 주소가 나타나게 됩니다.
이중 공유기 여부 확인
공유기는 기본적으로 192.168.x.x의 사설 아이피 대역 혹은 172.16~31.x.x의 사설 아이피 대역을 이용하게 됩니다. 물론, 10으로 시작하는 아이피 대역도 사설 아이피이지만 일반적으로 공유기에서 사용하는 대역은 아닙니다. 무시하셔도 됩니다.
그러면 이중 공유기를 어떻게 확인할까요? 사설 아이피가 2번 ( = 이중 공유기) 나타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이중 공유기 여부를 알 수 있게 됩니다. 이제 공유기들을 찾아가서 포워딩을 하면 되겠습니다!
물론… 공유기의 관리자 화면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실제 공유기를 찾아서 MAC 주소 등으로 조합된 암호 혹은 공유기에 적혀있는 암호를 살펴봐야 할 수도 있습니다. 그래도 일단, 이중 공유기 여부를 알고 나면 뭐가 문제인지 알 수 있으니까 도움이 될 거라고 믿습니다.
MAC 주소 확인하기
간혹 공유기의 MAC 주소만 알면 관리자 화면에 손쉽게 들어갈텐데, 공유기가 어디 있는지 잘 모르겠는 경우가 있습니다. 이럴 때는 아래 명령을 통해서 공유기의 MAC 주소를 추측해볼 수 있습니다.
arp -a
위 명령의 결과 중에서 앞서 위에서 확인했던 공유기의 주소와 일치하는 것을 찾습니다.
인터페이스: 192.168.123.104 --- 0x11
인터넷 주소 물리적 주소 유형
192.168.123.1 18-c5-**-**-23-41 동적
192.168.123.21 98-93-**-**-a7-72 동적
192.168.123.255 ff-ff-ff-ff-ff-ff 정적
Code language: CSS (css)
이처럼 이중 공유기 확인하면서 나왔던 공유기들의 주소 중에서 제일 먼저 나왔던 첫 번째 공유기의 MAC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제한사항으로는 두 번째 공유기의 MAC 주소는 알 수가 없습니다… 직접 찾으셔야 합니다.
그러나, 이 주소는 일반적으로 암호에 사용되는 공유기의 MAC 주소와는 다릅니다. 제 컴퓨터와 공유기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 어댑터에 대한 주소만 알 수 있습니다. 공유기가 유무선 공유기라면 다음과 같이 여러 MAC 주소를 가질 수 있습니다.
- 인터넷 어댑터 (WAN)
- 유선 네트워크 어댑터 (LAN)
- 무선 네트워크 어댑터 (WLAN)
이 중에서 알 수 있는 것은 결국 나와 연결된 어댑터의 MAC 주소뿐입니다. 그래도 추측은 가능합니다.
- 18-c5-**-**-23-39
- 18-c5-**-**-23-40
- 18-c5-**-**-23-41 (무선)
- 18-c5-**-**-23-42
- 18-c5-**-**-23-43
이처럼 방금 알아낸 공유기의 무선 네트워크 어댑터 MAC 주소를 기준으로 1씩 더하거나 빼보면 유선 네트워크 어댑터나 인터넷 어댑터에 대한 MAC 주소를 추측할 수 있고, 이걸 이용해서 암호를 찍어 맞춰볼 수 있습니다! 행운을 빕니다.
최대 10홉 이상의 8.8.8.8(으)로 가는 경로 추적
1 <1 ms <1 ms <1 ms 192.168.123.1
2 <1 ms <1 ms <1 ms 192.168.219.1
3 <1 ms <1 ms <1 ms 125.181.75.129
이렇게 뜨면 3중 공유기인가요?
192로 시작하는 사설 아이피가 2개이므로 이중 공유기입니다. 유플러스쪽에서 주로 저런 식으로 설치를 많이 해주는데 제가 옛날에 올린 이중 공유기 글이랑 환경이 거의 같아보입니다.
https://lamanus.kr/75
감사합니다. 작성하신 글대로 포트포워딩 도전 해보겠습니다~!
최대 10홉 이상의 8.8.8.8(으)로 가는 경로 추적
1 1 ms <1 ms <1 ms 192.168.219.1
2 2 ms * 2 ms 180.231.77.65
3 2 ms 1 ms 1 ms 10.204.198.29
이것도 2중 공유기라고 볼수있을까요??